Hero Background Image

  턴오버 쓰나미에 놓인 미국 기업들

 

최근 미국 인사관리협회(SHRM)는 1년 사이 최저에서 최고로 가파르게 상승한 미국의 퇴사율에 주목하여 ‘턴오버 쓰나미 (Turnover Tsunami)’를 주요 화두로 다루었습니다. COVID-19 속 극단적으로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는 퇴직 현상과 이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책에 주목해봅니다.

 

기업에서 ‘턴오버(Turnover)’는 직원의 퇴사, 특히 자발적으로 직장을 그만두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올해 자발적 퇴사자가 미국 노동 시장에 쏟아졌고 미국 인사관리협회인 SHRM은 이를 ‘쓰나미’에 비유했습니다. 실제 미국에서 퇴사자의 규모는 상당합니다. 지난 6월 13일 월스 트리트저널(WSJ)은 노동부 통계 자료를 인용해 최근 20년 중 가장 높은 퇴사 현상을 겪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올해 4월 미국 근로자의 퇴사율은 2.8%로 이는 2001 년 1월 2.4% 이후 최고치를 넘는 기록입니다. 퇴사율은 전체 근로자 중 해당 기간에 직장을 떠난 사람의 비율이므로 퇴사율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그만큼 구인난을 겪는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미국 퇴사율 증가 배경

이러한 퇴직 증가는 COVID-19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예견된 측면도 있습니다. 지난 2월 HR 및 리더십 연구기관인 성취자 인력 연구소가 2000명의 직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에 따르면 대상자의 52%가 올해 새로운 직장을 찾겠다고 응답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조사에서 이직에 대한 응답률이 35%였음을 고려하면 많은 미국 직장인들이 새로운 직장을 찾았거나 퇴사를 예정하는 것으로 분석 됩니다. 그럼 왜 이 시기에 퇴사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일까. 일반적으로 퇴사율은 경기 침체기에 낮아지고 경기 활황기에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여기에 이번 퇴직 현상은 COVID-19 팬데믹 효과와 겹치면서 좀 더 극단적으로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구체적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미국 경제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COVID-19 백신 접종 확대와 함께 미국 경제는 올해 1분기, 2분기에 각각 6.4%, 6.6%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3분기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률이 다소 주춤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전히 고용시장 회복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나타내듯 8월 미국의 비농업 신규 고용은 23만 5000만 명 증가했습니다.

둘째, 미국 경제가 회복되면서 자연스럽게 기업들이 채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미국 노동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 4월 미국 기업의 채용공고는 930만 건으로 2000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5월에는 948만 3000건으로 올라 갔고 6월에는 사상 최초로 천만 건을 넘어 1007만 건으로 나타났습니다. 3개월 연속으로 최다 기록을 갈아치운 것입니다. 이와 같은 채용공고 증가는 전문 및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 소매 무역 부문, 숙박 및 음식료 서비스 부문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미국 노동시장에서는 공급이 수 요를 따라잡지 못하는 상황이 됐고 기업들은 퇴사를 막고 신규 채용을 늘리는데 주력하는 형국입니다.

셋째, 퇴사를 통해 새로운 직장을 찾은 경우 임금 상승 효과가 크기 때문입니다. 미국 최대 급여정보처리 기업인 ADP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6월 평균 임금은 1년 전보다 1.5% 오른데 반해 퇴사 뒤 새 직장을 찾은 이들의 임금은 같은 기간 5.8% 급등 헸습니다. 특히 500인 이상 기업에서 새로운 직업을 찾은 퇴사자들의 임금 상승률이 더 높았는데 ADP에 따르면 이들의 임금은 7% 가까이 오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넷째, COVID-19 이후 재택근무를 경험한 직장인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직장을 찾는 경향이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성취자 인력 연구소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기업을 떠나지 않고 남는 이유 중에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이 23%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2위는 21%가 답한 ‘일에 대한 인정(Recognition for their work)’이 었고, ‘보상과 베네핏(Compensation and Benefit)’은 19%로 3위에 선정되었습니다. 즉 재택근무를 통해 더 나은 일과 삶의 균형을 경험한 미국 직장인들이 COVID-19 이후 현재 직장에서 이를 유지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새로운 직장을 찾는 경향이 나타난 것입니다.

끝으로 COVID-19로 인해 새롭게 경험한 조직 문화도 퇴사 열풍에 일조했습니다. WSJ은 팬데믹 이후 취직한 이들의 이직률이 특히 높은 편이라고 전했습니다. 재택근무 때문에 회사로 출근한 적이 없거나 동료 직원과 얼굴을 맞대고 일한 경험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보니 조직에 대한 애착이 적어 쉽게 직장을 옮긴다는 분석이었습니다.

 

노동시장이 건강하다는 신호

 당연히 미국 기업들은 직원 퇴사를 막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직원 퇴사는 남아있는 직원의 업무 부담 가중으로 이어지고 이는 또 다른 퇴사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기 때문이비다. 최근 조직성과 및 전략 컨설팅 업체인 이글 힐 컨설팅 (Eagle Hill Consulting)에 따르면 58%의 미국 직장인이 COVID-19 이후 번아웃(Burnout)을 경험한다고 응답 했고 가장 큰 이유로 과중한 업무 부담을 지적했습니다. 또한 미국 직장인들은 대개 이직 결정 후 2주 내로 회사 를 떠나기 때문에 조직에 내재된 지식의 상실, 공석이 이어지면서 생기는 생산성 저하도 직원 퇴사가 가져오는 또 다른 심각한 손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SHRM은 직원 퇴사를 대처하기 위해 평상시 구성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퇴직 면담(Exit Interview)이 아니라 유지 면담(Stay Interview)을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 했습니다. 나아가 온보딩, 멘토링, 경력 개발 기회 제공 등을 통해 성장할 수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이러한 퇴사 쓰나미가 개별 기업에는 어려운 과제 이지만 사회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현상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합니다. WSJ는 직장인이 자신이 처한 상황을 고려해 조건이 더 좋은 일자리로 옮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분석하면서 이는 노동시장이 건강하다는 신호라고 진단했습니다.

 

박영희 SPHR, 미국 SK hynix HR 시니어 디렉터